법무부 의정부보호관찰소는 경기북부지방경찰청과 스토킹 범죄 '전자장치 부착 잠정조치' 관련 법 시행에 대한 업무협의를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전자장치 부착 잠정조치는 법원으로부터 접근금지 명령을 받은 스토킹 가해자에게 위치 추적 전자장치(전자발찌) 부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관련 법 조항으로, 작년 7월 개정 후 지난 12일부터 시행됐다. 이날 의정부보호관찰소는 각 비상 상황에 대한 보호관찰소의 단계별 대응 방식을 시연하고, 신속한 공동 대응체계 확립을 위해 경찰 실무진 간의 핫라인(Hot-Line)을 구축했다. 또 개정법 시행을 위해 미흡한 부분을 상호 보완하고 향후 관할 경찰서와도 지속적인 실무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의정부보호관찰소 관계자는 "위치추적 시스템을 보유한 법무부가 경찰과 함께 전자발찌를 이용해 더욱 강화된 피해자 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매거진 = 지명신 기자 ]
경기 수원시는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첫해인 지난해 3억2천424만1천900원을 모금했다고 16일 밝혔다. 수원시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태어난 지역은 물론 학업·근무·여행 등을 통해 관계를 맺은 '제2의 고향' 등에 기부하면, 지자체는 기부금을 주민 복리증진 등에 사용하고, 기부자에게는 세액공제와 답례품 혜택을 주는 제도이다. 기부는 개인이 최대 500만원까지 할 수 있다. 기부 금액의 30% 이내에서 답례품이 제공되며, 기부금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진다. 10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16.5%의 세액공제가 이뤄진다. 수원시의 모금액은 전국 243개 자치단체의 평균 모금액 2억6천700여만원보다 20%가량 높은 금액이다. 수원시 기부자는 3천473명이며 기부 건수는 3천577건으로 집계됐다. 시기별로는 12월에 기부가 가장 많이 이뤄졌다. 지난해 1월 1일 첫 기부 이후 매달 100건 수준이던 기부 건수는 12월에 2천342건으로 급증했다. 시는 연말정산을 앞두고 10만원을 기부하면 전액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기부가 몰린 것으로 보고 있다. 기부 금액별로는 10만원 초과 기부자 17명, 10만원 기부
경기 용인시는 교육부 산하 국립특수교육원이 주관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사업' 공모에서 3년 연속 사업 대상에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교육부가 지역 중심의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2020년부터 시행 중이다. 용인시는 2022년 처음으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된 이래 올해까지 3년 연속 사업 대상에 선정됐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확보한 국비 1억3천500만원과 시비 등 총 2억7천만원을 들여 지역 실정에 맞춘 장애인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계획된 프로그램은 ▲ 찾아가는 평생학습 ▲ 고령 장애인 대상 미디어 교육 ▲ 장애인 신체 능력 강화를 위한 스포츠 프로그램 ▲ 디지털 통합인지교육 프로그램 '닥터브레인' ▲ 발달장애인 농구선수단 '바스켓드림' 등 49종이다. 용인시 관계자는 "다양한 공공 교육 혜택에서 자칫 소외될 수 있는 장애인분들을 위한 평생교육 시스템이 구축됐다"며 "특히 최근 교육부는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지원 기간을 3년 이내로 제한한 것을 폐지해달라는 용인시 건의를 받아들인 만큼, 관내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이 지원 사업은 앞으로도 계속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경기매거진 = 지명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