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경기 양주시에서 모녀가 전 남편을 폭행해 숨지게 한 사건은 굿하는 비용을 뜯어내려 저지른 범행으로 조사됐다. 경기 양주경찰서는 지난달 9일 전 남편을 폭행해 숨지게 한 혐의로 40대 여성 A씨와 A씨의 딸을 검거했다고 전했다. 최근까지 무속신앙에 빠져있던 A씨는 굿을 하기 위해 전 남편에게 돈을 요구했고, 이를 거부하자 지속해서 폭행을 가했다. 경찰은 A씨 모녀 외에 무속인 B씨도 폭행에 가담한 것으로 보고 3명 모두 강도 살인 혐의로 구속 송치했다.
경기지역에서 전세 사기 의혹 사건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들이 19일 경찰의 신속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전세사기·깡통 전세 피해자 경기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9시께 경기 수원시 경기도의회 브리핑 룸에서 '전세사기 전담수사팀 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최근 경찰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수원, 평택, 경기 광주 지역 전세 사기 의혹 사건들의 임차인들이 참여했다. 수원에서 8채의 건물을 바지 임대인들과 함께 직·간접적으로 소유한 상태로 140억원대의 전세 사기를 벌인 혐의로 입건된 상태인 강모(구속기소) 씨 사건의 임차인도 참석해 피해 현황을 전했다. 강씨 일당 피해자 대표 A씨는 "지난해 상반기 중개업자들 사이에서 '강씨 연관 건물 리스트'가 돌았는데 피해자들이 확인한 것만 총 17개의 건물에서 피해가 발생했다"며 "여기엔 강씨 명의 건물도 포함돼있으며 총 피해 세대는 238세대, 피해 금액은 약 320억원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강씨는 오랜 지인, 지인의 직장 동료, 함께 일했던 부동산 업자의 친구, 가족의 지인 등으로부터 명의를 빌리고 건물 등기를 올렸다"며 "보증금 회수의 꿈은 포기한 지 오래지만,
경기도가 올해 첫 말라리아 경보를 18일 발령했다. 경기도는 18일 파주시에서 2명의 군집사례가 확인된 데 따라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다고 19일 밝혔다. 군집 사례는 말라리아 위험지역 내에서 2명 이상의 환자가 증상 발생 간격이 14일 이내고, 거주지 거리가 1km 이내인 경우다. 경기도는 군집사례 환자의 추정 감염지역과 해당 지역 모기 서식 환경, 거주지 점검, 공동노출자, 위험 요인 등을 확인하기 위해 파주시를 대상으로 심층 역학조사를 실시한다. 파주시는 추가 사례 감지를 위해 지역 의사회·약사회를 통한 집중 홍보, 매개 모기 집중 방제, 조기 발견을 위한 신속 진단검사와 예방약 제공 등을 적극 수행할 계획이다. 한편 올해 18일 기준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 잠정 통계 기준 164명이다. 경기도에서는 91명으로 전국의 55.5%를 차지하고 있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올해부터 경기도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지난해 11개 시군에서 19개 시군으로, 집중관리 지역을 확대했다"며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는 매개 모기 방제를 강화하고 모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위험지역 거주자 또는 방문자는 말라리아 의심 증상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월평균 80여 마리의 반려동물을 불법으로 화장한 업자 A씨를 적발해 수사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반려동물을 화장해 1,400여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또 관할 관청에 신고하지 않고 대기 배출시설인 동물 사체 소각로(소각 능력 25kg/hr) 2기를 가동해 온 것으로 확인됐다. 동물장묘업자가 허가받지 않고 영업할 때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등록하지 않고 영업을 하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각각 처한다.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신고하지 않고 배출시설을 설치하거나 그 배출시설을 이용할 경우에는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된다. 경기도 특사경은 올 하반기 펫숍 등 동물 관련 영업장 불법행위에 대해 단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허가받지 않거나, 등록하지 않은 채 영업하는 행위, 영업 명의의 도용·대여 행위, 월령 12개월 미만 개ㆍ고양이 교배 또는 출산시킨 행위, 월령 2개월 미만 개ㆍ고양이 판매 행위 등이 주요 단속 대상이다.
야간외출 제한 명령을 어기고 집을 나섰다가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고 다시 구속됐던 아동 성범죄자 조두순이 만기 출소했다. 19일 경기 안산단원경찰서에 따르면,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징역 3개월을 선고받았던 조두순은 이날 형기를 마치고 오전 8시께 수원구치소에서 출소했다. 그는 보호관찰소 관계자 차량을 이용해 오전 9시께 경기 안산시 단원구 내 주거지로 돌아갔다. 조두순은 지난해 12월 4일 오후 9시5분께 ‘오후 9시 이후 야간 외출 금지’ 명령을 위반하고 안산시 소재 주거지 밖으로 40분가량 외출한 혐의로 기소됐다. 당시 그는 주거지 건물 1층 공동현관문에서 6∼7m 떨어진 방범 초소로 걸어와 근무 중이던 경찰관 2명에게 말을 걸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후 경찰관의 연락으로 관제센터로부터 위반 경보를 접수한 안산보호관찰소가 현장으로 보호관찰관을 보내면서 40여분 만에 귀가했다. 그는 “아내와 다투다 큰 싸움이 이어지기 전에 자리를 피하겠다는 생각이었다”며 가정불화 등을 이유로 무단 외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조두순이 출소함에 따라 잠시 운영을 중단했던 경찰 감시초소도 곧바로 업무를 재개했다. 조두순 거주지인 단원구 와동 주택가에 설치된
19일 오전 7시 20분께 경기 성남시 경부고속도로 판교IC 부근에서 버스 3대가 연달아 추돌했다. 이 사고로 부상자는 나오지 않았으나, 5개 차로 중 1개 차로가 사고 수습을 위해 1시간 10여분간 통제되면서 후방 3㎞가량에 정체가 빚어졌다. 현재는 사고 수습이 모두 끝난 상태이다. 사고는 2차로를 달리던 택시가 1차로로 차선 변경을 하면서 1차로를 달리던 버스가 급정거했고, 이에 뒤따르던 버스들이 차례로 추돌하며 발생한 것으로 잠정 파악됐다. 경찰은 블랙박스 영상 등을 토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안산시의 한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해 주민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일어났다. 18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37분께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의 한 20층짜리 아파트의 12층에서 불이 났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고, 주민 32명은 불이 나자 스스로 대피했다. 화재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은 펌프차 등 장비 20대와 소방인력 60명을 동원해 신고 접수 30여분 만에 불을 완전히 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자세한 화재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다.
로맨스스캠에 속아 보이스피싱 조직의 현금 수거책으로 전락한 30대 여성이 구속됐지만, 그녀는 아직도 그를 믿고 있다. 로맨스스캠(연애빙자 사기)에 속아 보이스피싱 조직의 현금 수거책으로 전락한 30대 여성이 구속됐다. 경기 가평경찰서는 사기 혐의로 30대 여성 A씨를 구속했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A씨는 실직 후 별다른 직업 없이 고시원에 주로 거주하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A씨에게 올해 초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보이스피싱 조직원 B씨(남)가 접근했다. 자신을 사업가라고 소개한 B씨는 “지금은 해외에 거주하고 있지만 사귀고 싶다”며 사진도 보내왔다. 온라인 속 남자에게 빠진 A씨는 결국 심리적으로 지배돼 그의 지시에 따르게 됐고, 결국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해 피해자로부터 돈을 받아 전달하는 수거책이 됐다. 피해자 10명으로부터 2억 2,000만 원을 받아 다른 조직원에게 전달한 A씨는 지난 14일 가평군에 있는 한 주차장에 800만 원을 받으러 갔다가 경찰에 붙잡혔다. 특히, 저금리 대환 대출을 미끼로 한 수법에 속을 뻔한 피해자가 파출소에 상담하면서 결국 덜미를 잡힌 것이었다. A씨는 경찰 출석 요구서를 받
지난 26일 오전 6시 50분쯤 경기 화성시 비봉면 한 원두 가공 공장에서 불이 나 약 1시간 만에 꺼졌다. 소방당국은 오전 7시 10분쯤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장비 30여 대와 90여 명을 투입해 진화에 나섰다. 이 불로 다친 사람은 없었다.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조사할 예정입니다. [ 경기매거진 = 지명신 기자 ]
지난 26일 오전 6시42분쯤 여주시 대신면 한 주거용 비닐하우스에서 불이 나 2명이 숨졌다. 소방당국이 현장 도착 당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던 비닐하우스 거주자 60대 남성과 50대 여성은 결국 사망했다. 이들과 함께 있던 외국인 1명은 스스로 대피했다. 소방당국은 비상 대응 1단계를 발령, 펌프차 등 장비 34대와 인력 91명을 동원해 40여분 만인 오전 7시24분쯤 큰 불길을 잡았다. 불은 200㎡ 규모 주거용 비닐하우스 1개동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경찰과 소방당국은 불을 완전히 끄는대로 정확한 화재 경위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 경기매거진 = 지명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