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환 고양시장이 하수처리시설 노후도를 개선하고 기능과 효율성을 높이는 인프라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고양시는 지역 내 최대 하수 처리 시설인 일산수질복원센터를 대대적으로 개선한다고 5일 밝혔다.
이 센터는 시에서 발생하는 하루 평균 42만1천200t 하수의 약 60%를 처리했으나 건립된 지 31년이 지나 노후 현상이 심한 상태다.
시는 침전물 처리시설 교체, 송풍기 추가 설치, 생물 반응조 간벽 조정, 반송 펌프 개량 등 공사를 다음 달 시작해 오는 2026년에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 공사가 끝나면 일산테크노밸리와 고양방송영상밸리 개발로 유입량이 많이 늘어날 하수까지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또한 시는 오염이 심한 부엌·화장실 등 생활하수가 빗물과 섞이지 않고 처리될 수 있도록 117km 구간에 전용 오수관로를 2027년까지 설치할 방침이다.
신도시 조성 당시 매설된 하수관 누수로 지반이 침하하는 것을 막기 위해 2020년 4월부터 추진해온 하수관로 정비공사는 계속 확대한다.
이동환 시장은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하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각종 재해를 예방하고 맑고 깨끗한 물이 하천에 흐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매거진 = 지명신 기자 ]